코로나19로 실직한 서울 청년 아르바이트 노동자 10명 중 9명이 실업급여를 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실직 청년노동자 중 재취업에 성공한 이는 13.7%에 그쳤다.

서울청년유니온은 지난해 11월10일부터 24일까지 코로나19 이후 실직한 만 19~39세 아르바이트 노동자 102명을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한 결과를 9일 발표했다. 실직 청년노동자가 일했던 사업장 규모는 5명 미만(41.2%)이 가장 높았고, 5명 이상 30명 미만(35.3%), 30명 이상 100명 미만(18.6%), 100명 이상 300명 미만(4.9%)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편의점 등 상점판매(24.5%), 패스트푸드점 등 음식판매(16.7%), 학원강사 등 교육서비스(13.7%) 같은 대면서비스 업종에서 실직이 주로 이뤄졌다.

실직 이후 가장 부담되는 지출항목을 물었더니 생활비(80.4%)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지출비용 조달방법(중복응답)은 저축해둔 돈을 사용(53.9%), 가족·지인으로부터 지원(50%) 순이었다.

실직 청년노동자 중 다시 취업한 경우는 13.7%에 그쳤다. 나머지 86.3%는 소득원이 없다는 의미다. “다른 아르바이트 구직 중”(39.2%), “취업준비”(21.6%) 등 60.8%는 구직 과정이라고 응답했다. “어느 항목에도 해당하지 않고 쉰다”는 니트족은 7.8%였다.<그래프 참조>

정책수요(중복응답)를 묻는 질문에는 59.8%가 “소득지원 정책”을 꼽았다. 서울청년유니온은 “재취업 성공자가 매우 적고, 생활비 지출이 압도적으로 높은 점이 소득지원 정책에 대한 높은 수요 원인일 것”으로 예상했다.

실직 청년노동자 중 실업급여를 받은 경우는 9.8%에 머물렀다. 그 사유로 고용보험 미가입(39.4%), 최소 노동일수 미달(29.4%), 자발적 퇴사(14.7%) 순이었다. 3.3%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몰라서 받지 못했다”고 응답했다.

서울청년유니온은 “자발적 이직자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어 실효성이 위협받고 있다”며 “코로나19와 유관한 실업의 경우 자발적 이직자의 실업급여 수급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저작권자 © 매일노동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