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를 읽어드립니다
0
19일 마지막 가동을 마치고 폐쇄한 포스코 포항1선재공장에서 직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 포스코 제공
19일 마지막 가동을 마치고 폐쇄한 포스코 포항1선재공장에서 직원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는 모습. 포스코 제공

포스코가 중국발 공급과잉에 밀려 생산량이 급감한 포항제철소 1선재공장을 폐쇄했다.

포스코는 19일 포항제철소 1선재공장의 마지막 가동을 마치고 이날 폐쇄했다고 밝혔다. 이 공장이 1979년 2월 가동을 시작한 지 45년 9개월 만이다. 선재는 철강 반제품을 압연해 선 형태로 만든 제품이다. 강선, 와이어로프, 용접봉 등을 만드는 중간 소재로 쓰인다.

포스코의 공장 폐쇄는 올해 들어 벌써 두 번째다. 지난 7월에는 포항 1제강공장이 문을 닫았다. 최근 현대제철도 포항 2공장 폐쇄를 결정하고 가동을 무기한 중단한다고 밝힌 바 있다.

광고

중국에서 수출하는 철강재가 낮은 가격에 국내 시장으로 밀려들면서 공급과잉이 초래돼 공장 가동률이 급감한 게 국내 제철소의 잇따른 공장 폐쇄로 이어지고 있다. 중국 철강 업체들이 중국의 건설경기 부진으로 내수 수요가 부족해지자 가동률을 일정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생산한 물량을 주변국에 저가로 밀어낸 것이다. 중국발 수출에 전 세계 선재 가격도 급락한 상황이다. 국내 철강 업체들 역시 건설 경기 침체로 인한 수요 부족을 겪는 상황에서 중국산 제품의 공세에 수익성이 크게 악화했다.

포스코는 노후화된 1선재공장을 폐쇄하고, 이곳에서 생산하던 물량을 포항 2∼4선재 공장으로 돌릴 계획이다. 이곳에서 일하던 직원들도 타 부서 등으로 재배치된다. 포스코는 앞으로 저가 제품 생산을 줄이고 자동차용 고강도 볼트나 스프링강, 베어링강 등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선재 생산을 조정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남지현 기자 southj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