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이 직접 개발"… 행안부·네이버, '공공 AI 인재' 키운다

입력
수정2025.03.12. 오후 12:10
기사원문
권용훈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사진=오픈AI


행정안전부와 네이버가 공직 내 인공지능(AI) 전문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손을 맞잡았다. 싱가포르 정부가 구글 클라우드와 협력해 공공 AI 인재를 육성하는 사례처럼, 이번 협약은 국내에서도 민관 협력을 통한 공공 AI 역량 강화를 위한 첫걸음으로 평가된다.

행안부는 13일 네이버와 함께 공공 AI 전문인재를 네이버에서 교육하는 업무협약(MOU)을 서면으로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공공부문에서 AI 인력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외부 채용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자체적인 인재 양성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 추진됐다.
이번 협약을 통해 행안부와 네이버는 공공부문 AI 인재 양성을 위한 특별 교육과정 개설 및 운영, 공공부문 AI 리터러시 강화를 위한 교육 콘텐츠 제공, 공공 AI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협력 과제 발굴 등을 추진한다.

첫 번째 교육 과정은 공무원 20여 명을 선발해 이달 31일부터 10일간 진행된다. 교육 대상자는 중앙행정기관 및 지자체의 추천을 받아 서면 심사를 거쳐 선정될 예정이다.

교육은 실제 행정 현장에서 AI 기술을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의 AI 개발 환경에서 진행된다. 주요 커리큘럼은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활용한 AI 서비스 구현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을 접목한 민원 응대 챗봇 개발 등 실용적인 과제 실습 중심으로 구성됐다.
양 기관은 이번 교육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도록 운영 성과와 교육생 피드백을 반영해 향후 AI 전문인재 양성 과정을 지속적으로 개설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공공부문에서 AI 전문성을 갖춘 핵심 인력을 꾸준히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는 "공공부문 AI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네이버의 AI 및 클라우드 기술이 활용되는 것을 뜻깊게 생각한다"며 "다양한 실습 교육을 지원해 공공 행정에서 AI가 실질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은 "AI 혁신의 흐름 속에서 정부가 선제적으로 대응하려면 공공 AI 인재 양성이 필수적"이라며 "민간 기업과 협력해 우수한 AI 인력을 지속적으로 육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이 기사를 추천합니다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