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일몰제 개편·전담 컨트롤타워 등 생태계 복원책 요구
전기진흥회, 주요 EPC 수주 현황 조사 분석·정책 건의
구자균 회장 “그린뉴딜 정책 최우선 분야로 삼아야”

연도별 ESS 사업장 수.
연도별 ESS 사업장 수.

주요 EPC 기업의 상반기 ESS 수주는 평균 2건에 불과하고 하반기에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ESS(에너지저장장치; Energy Storage System) 산업의 활성화와 재도약을 위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한국전기산업진흥회(회장 구자균)는 최근 ‘ESS 생태계 육성 통합 협의회’ 소속 주요 EPC(Engineering, Procurement, Construction) 기업의 수주현황을 파악한 결과, 상반기엔 기업별 평균 2건, 약 7MWh의 태양광 연계 실적이 있었지만 하반기에는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특히 화재 사고수습과 안전조치 이행 이후 시장 불확실성 증대와 대안 부재로 고사 위기로 내몰리고 있다며 ESS 산업 활성화와 재도약을 위한 정책지원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우선 ESS 제조, 시공, 운영사 및 유관기관 등 82개 회원으로 구성된 ESS 통합협의회에 따르면, 현재 약 60% 이상의 기업이 당분간 사업을 포기하거나 사업 물량이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신규사업장 역시 2018년 973개소에서 지난해 476개소로 절반 이상 줄어든 것으로 분석됐다. 신규설비 용량도 2018년 3.7GWh에서 정점을 찍은 뒤 지난해1.8GWh로 축소되는 등 생태계 복원이 시급하다는 판단이다.

전기진흥회 관계자는 “최근 2년간 발생한 ESS 화재 사고 이후, ESS 사업자의 수익성이 악화되고 신규시장이 지속적으로 축소되는 등 생태계가 무너지는 모습이 세부적 수치로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피크컷용 ESS 시장은 특례요금제가 일몰되면서 신규시장이 거의 사라졌고 태양광 연계 ESS도 REC 가격이 폭락하면서 축소 또는 취소되고 있다는 것이다.

전기진흥회측은 “ESS 화재 및 촉진 요금제 일몰 등 정책 변화로 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졌다”며 “충전율(SOC) 하향 조치를 통해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정부 방침은 이해하나, 뚜렷한 활성화 방안이 전제되지 않은 상황에서 모든 사업장에 충전율을 제한하고, 인센티브제를 당초 계획대로 일몰하는 정책은 업계의 현실을 도외시한 것이라는 게 공통된 인식”이라고 언급했다.

또 “지난달 REC 가격은 2017년 1월 대비 약 72% 하락한 상태”라면서 “ESS 업계가 자생력을 갖추고 연착륙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제 일몰의 단계적 축소 또는 개별 프로젝트 적용 등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관련 업계는 이에 따라 기존 일몰제를 개별 기간제로 개편해 상업 운전 후 15년간 ESS 기본요금할인(1배수)과 전력량 요금할인(경부하 시간 충전 50% 할인)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또 SOC 80~90% 하향 운전에 따른 방전시간대 추가 부여, 가동중단 및 SOC 70% 하향 운전 사업장에 대한 손실보전 등을 제시했다.

계통연계형의 경우도 REC 제도를 보완해 태양광 발전용량 제한(또는 급전지시)에 연동한 인센티브 부여를 요구했다.

이와 함께 정부 내에 ESS 관련 담당 부처가 최소 4~5개로 업계와의 소통 및 일관된 정책 수립에 한계가 있다며 기능적·통합적으로 핵심 역할을 담당할 전담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구자균 전기산업진흥회 회장은 “ESS 산업은 신재생 에너지의 간헐성 보완과 전력소비 효율화 등 미래 신성장 산업으로 계속 발전해갈 것”이라며 “그린뉴딜 정책에 발맞춰 정책 최우선 분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구 회장은 또 “그린뉴딜 정책 추진과 추경 편성에 ESS 투자가 적극 반영되고 분산에너지 활성화 로드맵을 통한 공공분야 확대, 민간 부문 시장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보완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전기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