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명 백진호 기자
  • 입력 2022.08.18 14:20
안전 강화에 활용 가능한 ICT 기술. (자료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안전 강화에 활용 가능한 ICT 기술. (자료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뉴스웍스=백진호 기자] 정부가 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중대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인공지능(AI)·지능형 사물인터넷(AIoT)·메타버스·클라우드 등의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8일 행정안전부, 고용노동부, 산업통상자원부과 함께 '디지털 기반 국민안전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일터와 생활, 재난 등의 안전 관련 이슈에서 디지털 기술을 적극 융합 및 활용해 나갈 계획이다.

일터 안전과 관련해 '디지털 기반 4대 산업현장안전'을 제고할 방침이다. 제조 현장에서 노동자의 의상이나 신체가 장비에 끼면 즉각 전원을 차단하는 '초저지연 이음 5세대(특화망) 안전서비스'를 구축해 반월공단에서 실증한다. 물류 현장에서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적재 작업을 무인화·원격화할 예정으로 식품산업클러스터 등에서 실증할 계획이다.

건설 현장에서 건축물 붕괴 등에 의한 추락, 고립 사고를 막기 위해 영상 센서와 온도·강도 IoT 센서 등으로 안전 장치 착용 상태와 건축물 붕괴 위험 등을 분석하는 '디지털 건설 안전관리시스템' 등도 실증에 돌입한다. 

콜센터 상담원 등 감정 노동에 노출된 노동자에게는 정신적 스트레스를 분석해 맞춤형 정신건강관리를 지원하는 '메타버스 기반 디지털 치료제'를 제공할 예정이다.

'현장에 맞는 디지털 안전 신서비스확산체계'. (자료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장에 맞는 디지털 안전 신서비스확산체계'. (자료제공=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현장에 맞는 디지털 안전 신서비스확산체계' 구축에도 나선다. 고용부와 과기부가 데이터를 기초로 현장의 대표적 산재 요인을 파악·분석·예방하는 디지털 신 서비스를 발굴한다. 50인 미만의 노동자가 근무하는 취약 사업장 등에 대해서는 디지털 안전서비스 도입을 지원한다.

산업 현장에서 노동자의 안전·생명을 보호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기 위해 행안부는 분산된 재난안전데이터를 수집·연계·분석·활용하는 '재난안전데이터 공유플랫폼'을 구축하고, 과기부는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를 만든다. 나아가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 개발 지원 체계와 조달 우대를 통해 서비스 개발·확산을 촉진할 계획이다. '중장기 기술개발이행안(로드맵)'을 수립하고 표준화, 규제 개선 과제 등을 논의하는 민관협의체도 운영한다.

저작권자 © 뉴스웍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