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물류대란에 물가까지 꿈틀
중국에 러브콜 날린 일론 머스크
WHO, 코로나19 기원 조사 재개

미국의 극심한 물류대란이 소비자 불편으로 이어지고 있다.[사진=뉴시스]

[美 물류대란 나비효과]
항구가 막혔는데 왜 물가 오를까 

미국의 물류대란이 계속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월 26일(현지시간) 미국 수입품의 4분의 1 이상이 들어오는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항과 롱비치항에 입항 대기 중인 화물선이 60척에 이른다고 보도했다. 9월 초 입항하지 못한 화물선이 40척가량이었다는 걸 감안하면 물류대란이 더 심화한 셈이다. 수만개의 컨테이너가 쌓여 있는 탓에 입항 대기 시간은 3주에 이를 전망이다. 

물류대란이 계속되고 있지만 항만이 문을 닫는 날은 되레 늘어나고 있다. WSJ는 “항만이 평일에도 몇시간씩 문을 닫고 있다”며 “일요일에는 아예 쉬고 있다”고 전했다. 이는 코로나19 재확산으로 항만이 폐쇄되고, 감염을 두려워한 노동자가 이탈했기 때문이다. 물류대란의 원인이 노동력 부족 현상에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물류대란이 다양한 골칫거리를 낳고 있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물량 확보를 위해 더 많은 운임과 임금을 내야 하는 유통업체의 부담이 물가 상승을 부채질할 수 있다. 실제로 인조 크리스마스트리 가격은 예년보다 25% 이상 비싸졌다. 재고부족 문제도 심화하고 있다. 일례로, 코스트코는 물량 부족을 이유로 화장지와 같은 생필품의 구매 제한에 나섰다.  

리처드 갈란티 코스트코 최고재무책임자(CFO)는 9월 24일 “화장지‧생수 등 생필품의 1인당 구매 수량을 제한하고 있다”며 “최근 배송 지연과 운송 인력 부족 등의 문제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공급 업체의 물량은 충분하다”면서도 “트럭 운송 등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배송이 2~3주 지연되고 있다”고 말했다. 물류대란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롱비치항의 마리오 코르데로 전무이사는 “공급망 전반에서 24시간 체제로 전환해야 할 것”이라며 “그러지 않으면 현재와 같은 물량을 효과적으로 옮기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강서구 더스쿠프 기자
ksg@thescoop.co.kr


[머스크는 왜 중국 띄우나]
악재 피하려는 립 서비스 

“중국 투자를 계속 확대하겠다.”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9월 26일 중국 저장성浙江省에서 개막한 제8회 세계인터넷대회(WIC)에 보낸 사전 녹화 영상 메시지를 통해 이렇게 말했다.

머스크는 “중국은 자동차 산업을 포함해 여러 산업에 최신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많은 자원과 노력을 쏟고 있다”면서 “테슬라는 중국에 대한 투자와 연구개발(R&D) 노력을 계속 확대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를 두고 머스크가 ‘중국 띄우기’를 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미국 경제전문매체인 CNBC는 “테슬라는 중국에서 정보유출 의혹, 리콜 등 악재에 직면해 있다”면서 “테슬라가 중국에서 평판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머스크는 지난 9월 17일 중국 하이난海南島에서 열린 ‘2021 세계 신에너지 자동차 회의(WNEV)’에서도 영상 메시지를 통해 “중국 자동차 업체들이 세계에서 가장 경쟁력이 있다”고 말한 바 있다.

이번 WIC 영상 메시지에선 “테슬라는 생산, 판매, 서비스 등 모든 데이터를 현지화하기 위해 중국에 데이터 센터를 설립했다”면서 “아주 드문 경우를 제외하면 모든 개인 신상 정보는 해외로 전송되지 않고 중국 내에 저장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김정덕 더스쿠프 기자
juckys@thescoop.co.kr


[백신 지식재산권 갈등 팽팽]
“일시적 포기” vs “포기 불공평”


“전염병이 닥쳤을 때 생명과학 분야가 번성한 것은 지식재산권(IP) 덕분이다.” 앨버트 불라 화이자 CEO가 코로나19 백신의 지식재산권을 포기하라는 요구에 반대 의견을 냈다. 

앨버트 불라 화이자 CEO가 백신 지식재산권을 포기할 수 없다고 밝혔다.[사진=뉴시스]

9월 26일(현지시간) 불라는 미국 ABC뉴스를 통해 “최근 미 정부와 백신 10억회 분을 원가에 계약했다”는 소식을 전하며 “미 정부가 이를 빈곤국에 무상 기부할 것”이라 말했다. 이는 “화이자와 모더나가 전 세계 백신 불균형을 해소하기보다 부유한 국가에 고가의 백신을 판매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는 톰 프리든 전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 국장의 비판을 염두에 둔 발언이었다. 

코로나19 백신을 둘러싼 갈등은 수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그 중심엔 백신 지식재산권 문제가 있다. 지난 5월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무소속)은 미국 제약사들이 코로나19 백신 지식재산권을 일시적으로 포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전 세계에서 수백만명의 목숨이 위태롭다”며 “백신이 필요한 다른 지역의 제조시설들이 백신을 생산할 수 있도록 일시적으로 지식재산권을 허용해야 한다”고 말했다. 바이든 대통령과 백악관도 이런 주장에 지지한다는 뜻을 밝혔다. 하지만 제약사들은 “지식재산권 포기 요구는 불공평하다”며 맞서고 있다.

김미란 더스쿠프 기자
lamer@thescoop.co.kr


[WHO 2차 조사단 구성]
코로나19 기원 이번엔 알아낼까 

세계보건기구(WHO)가 코로나19 바이러스 기원에 관한 조사를 재개한다. 앞서 1차 조사에서 쟁점이었던 ‘우한武漢 실험실 기원설’도 다시 다룰 전망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9월 26일(현지시간) “WHO가 중단됐던 코로나19 기원 조사에 나선다”면서 “2차 조사단은 바이오 안전 전문가, 유전학자, 동물병 전문가 등 20여명으로 구성된다”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번 조사 재개 배경엔 미국과 동맹국의 압박이 작용했다.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에게 공개적으로 조사 재개를 요구해 왔다. 아울러 “조사팀에 최소 한명 이상의 미국인 전문가가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 비非미국인 전문가 10여명으로 이뤄진 1차 조사단은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우한 실험실에서 유출됐을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판단한 바 있다.

관건은 중국 정부가 조사단의 입국을 허가해주느냐다.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은 지난 11일 열린 유엔 총회에서 “중국은 과학에 근거한 코로나19 기원 추적을 계속 지원할 것이다”면서도 “어떠한 정치 공작도 단호히 반대한다”고 밝혔다. 로런스 거스틴 조지타운로스쿨 교수 역시 “WHO는 힘이 없고, 중국 정부가 모든 카드를 쥐고 있다”면서 “보다 광범위한 국가와 분야의 전문가로 대규모 조사단을 꾸려 중국 정부를 압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지원 더스쿠프 기자  
jwle11@thescoop.co.kr

저작권자 © 더스쿠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